목록분류 전체보기 (50)
삽더하기실수

#upgrade codehelm upgrade prometheus edu/prometheus \--set pushgateway.enabled=false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0].key="node-role.kubernetes.io/master"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0].effect="NoSchedule"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0].operator="Exists"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1].key="node-role.kubernetes.io/control-plane"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1].effect="NoSchedule"..

port-forward 개념로컬 머신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의 특정 포드(Pod)로 직접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하는 방법 예시)더보기파드를 하나 생성해준다 port-forward.yamlkind: Podmetadata: name: fwd-chk-hnspec: containers: - name: chk-hn image: sysnet4admin/chk-hnk port-forward fwd-chk-hn 80:80>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127.0.0.1로 curl 을 보내면 k port-forward --address 0.0.0.0 fwd-chk-hn 80:80>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127.0.0.1로 curl 을 보내면 보통 내부에서 포트를 임의로 포워딩 해줄 때 사용 한다. Hos..

sudo rm /etc/containerd/config.tomlsudo systemctl restart containerdkubeadm reset 이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해결된다.
#오류 내용[ERROR CRI]: container runtime is not running: output: time="2024-05-19T08:32:41+09:0ice connection: validate CRI v1 runtime API for endpoint \"unix:///var/run/containerd/containmplemented desc = unknown service runtime.v1.RuntimeService" #해결방법vi /etc/containerd/#disabled_plugins = ["cri"] #해당 항목 주석 처리systemctl restart continaerd

#오류 내용E0518 07:57:23.760159 21700 memcache.go:265] couldn'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: Get "http://localhost:8080/api?timeout=32s": dial tcp [::1]:8080: connect: connection refused #해결방법mkdir .kubecp /etc/kubernetes/admin.conf /root/.kube/config #원인 분석해당 내용은 /root/.kube/config 쪽에 admin.conf 파일 없어서 발생한 내용으로 해당 내용을 가져오면 정상적으로 노드를 가져와졌다.

1. Bios 화면에서 F2키 입력 2. 이후 Advanced > storage configure 화면 이동 3. SATA Mode Selection "Raid"로 변경 ! 참고 사진 4. F10 키를 입력하여 저장 후 부팅 5. Ctrl + I 키 연타 6. Create Raid Volume 설정 7. 이후 종료 후 리부팅 진행
1. SSL 인증서를 구입하거나 자체 서명 인증서를 생성합니다 2. Puma 구성 파일을 엽니다. 일반적으로 config/puma.rb 파일에 있습니다.cd /test/config/ 3. SSL 인증서와 개인 키 파일의 경로를 설정합니다.# vi puma.rbssl_bind '0.0.0.0', '443', {key: '/root/test/ssl20230425/[키값]',cert: '/root/test/ssl20230425/[cert값]'} 4.SSL 구매한 인증서 파일 4개를 경로에 옮겨 놓습니다(ex. key,cert,chain,root)mkdir -p /test/ssl 5. Ruby on rails 재구동bundle exec puma -C config/puma.rb 혹은 bundle exec pum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