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전체 글 (53)
삽더하기실수

https://sapplusfloat.tistory.com/54 WDS(기본 세팅)WDS 서버 구성Windows Deployment Services(WDS)는 네트워크를 통해 Windows 운영 체제를 배포하기 위한 Microsoft의 기술입니다.사전 요구사항WDS 서버 구축을 위한 필수 요구사항: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가 구sapplusfloat.tistory.com위와 같이 기본 세팅이 끝난 뒤 WDS 세팅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. 윈도우 배포 서비스를 들어가면 초기에는 위 사진과는 다르게 설치 이미지가 없을 것이다.우선 해당 사진처럼 나온다는 정도만 생각하자. WDS 서버 설정을 위해 위 이미지와 같이 속성을 들어가준다. PXE 응답 부분에서 이미지와 같이 설정해주..

WDS 서버 구성Windows Deployment Services(WDS)는 네트워크를 통해 Windows 운영 체제를 배포하기 위한 Microsoft의 기술입니다.사전 요구사항WDS 서버 구축을 위한 필수 요구사항: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가 구성된 도메인 환경DHCP 서버 (IP 주소 할당용)DNS 서버 (네임 확인용)WDS 서버Apache (이미지 배포시 활용)충분한 저장 공간 1. DHCP 서버 구축서버관리자 > 역할 및 기능 추가를 클릭하여 들어간다.이 부분을 눌러주고 쭉 다음을 눌러준다. 이후 DHCP를 설정할 범위를 지정해주고 우선 이미지와 같이 간단하게 입력만 해준다.추후 설명에서 해당 값 등록은 다시 설명 할 예정이다. 2. WDS서버 구축상자 부분을 클..
1. nmcli로 설정 하는 방법nmcli con mod ens33 ipv4.method manual ipv4.addresses 192.168.1.253/24 gw4 192.168.1.1 ipv4.dns "8.8.8.8 8.8.4.4"#IP,Gateway,DNS 설정nmcli con mod ens33 connection.autoconnect yes#리부팅시 자동으로 올라오게 하는 설정nmcli con up ens33#인터페이스 활성화 옵션nmcli con show ens33 | grep autoconnect# 설정 확인 방법 2. /etc/NetworkManager/system-connections/ 를 통해 설정 파일을 수정 하는 방법[ethernet][ipv4]address1=192.168.10.18..

#upgrade codehelm upgrade prometheus edu/prometheus \--set pushgateway.enabled=false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0].key="node-role.kubernetes.io/master"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0].effect="NoSchedule"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0].operator="Exists"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1].key="node-role.kubernetes.io/control-plane" \--set nodeExporter.tolerations[1].effect="NoSchedule"..

port-forward 개념로컬 머신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의 특정 포드(Pod)로 직접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하는 방법 예시)더보기파드를 하나 생성해준다 port-forward.yamlkind: Podmetadata: name: fwd-chk-hnspec: containers: - name: chk-hn image: sysnet4admin/chk-hnk port-forward fwd-chk-hn 80:80>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127.0.0.1로 curl 을 보내면 k port-forward --address 0.0.0.0 fwd-chk-hn 80:80>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127.0.0.1로 curl 을 보내면 보통 내부에서 포트를 임의로 포워딩 해줄 때 사용 한다. Hos..

sudo rm /etc/containerd/config.tomlsudo systemctl restart containerdkubeadm reset 이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해결된다.
#오류 내용[ERROR CRI]: container runtime is not running: output: time="2024-05-19T08:32:41+09:0ice connection: validate CRI v1 runtime API for endpoint \"unix:///var/run/containerd/containmplemented desc = unknown service runtime.v1.RuntimeService" #해결방법vi /etc/containerd/#disabled_plugins = ["cri"] #해당 항목 주석 처리systemctl restart continaerd